[Hinews 하이뉴스] 축구, 농구, 등산 등 활동적인 스포츠 활동이 늘면서 무릎 부상 위험도 높아졌다. 그중 무릎이 뒤틀리거나 꺾이면서 '뚝' 끊어지는 전방십자인대파열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전방십자인대가 여러 요인에 의해 손상되면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단순한 염좌가 아닌 파열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2차 관절염, 반월상연골 손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가 바람직하다.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점프 후 착지, 외부 충격에 의해 전방십자인대는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운동 중 비정상적으로 꺾이거나 다리가 심하게 비틀릴 때 '뚝' 하는 소리와 함께 찢어지는 질환을 전방십자인대파열이라고 한다.

노종호 서울프라임병원 대표원장
노종호 서울프라임병원 대표원장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관절이 흔들리고, 불안정하여 보행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관절 내 출혈이 일어나 부기, 멍이 생기기도 한다.

경미한 손상이나 치료 시기를 놓치면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거나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주변 구조물의 손상으로 2차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진단에 따라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무조건 수술로 이어지진 않고, 파열 양상과 통증, 불안정함, 환자의 활동량 등을 고려하여 치료가 진행된다. 인대가 조금만 찢어졌거나 활동량이 많지 않다면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가 시행된다.

하지만 인대가 완전히 끊어졌거나 불안정함이 심하고 활동량이 많다면 수술적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손상된 인대를 봉합만으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인대를 이식하는 인대재건술이 진행된다. 자기 몸의 힘줄 혹은 타인의 힘줄을 이용해 새로 이식하는 수술이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로 비교적 간단하지만, 수술 후 불편감 없이 복귀하려면 재활이 매우 중요하다.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 소요되는 재활은 무릎을 부드럽게 움직이는 연습부터 허벅지 근육을 키우고, 균형 감각 운동 등 점진적인 재활이 이뤄져야 한다.

무릎 안정성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치료해야 한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수술은 물론, 온전히 회복될 때까지 재활은 오랜 기간 소요되므로 신속한 치료를 권장한다.

(글 : 노종호 서울프라임병원 대표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