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신생아 장천공은 괴사성 장염 등으로 장에 구멍이 생겨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진단은 엑스레이로 복강 내 공기 유무를 확인하지만, 영상 소견이 명확하지 않아 판독이 어렵다.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은 신생아 엑스레이 영상을 AI로 분석해 장천공 여부와 병변 위치를 찾아내는 판독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내부 검증에서 94.9%, 외부 검증에서 84.1%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특히 미숙아에게 주로 발생하는 장천공은 진단 지연 시 합병증이나 사망 위험이 크다. 신생아중환자실에서는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즉시 판독하기 어렵고, 기존 AI 모델들은 성인 데이터에 기반해 신생아에 적용하기 힘들었다.

연구팀은 신생아 엑스레이 260만 건 중 장천공 영상 294건과 정상 영상 252건을 학습시켰고, 복강 내 공기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딥 멀티태스크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또한 국내 11개 병원의 6만4000건 영상으로 외부 검증을 진행해 성능을 확인했다.

(왼쪽부터) 윤희망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김남국 융합의학과 교수, 이병섭 신생아과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왼쪽부터) 윤희망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김남국 융합의학과 교수, 이병섭 신생아과 교수 (사진 제공=서울아산병원)
윤희망 교수는 “신생아 장천공은 빠른 진단이 필수지만 영상이 모호해 경험에 따라 진단률 차이가 컸다. AI 판독 모델은 전문의 수준 정확도와 의료진 간 판독 일치도 향상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남국 교수는 “신속한 판단이 필요한 신생아중환자실에서 AI가 조기 진단을 돕고, 신생아 생존율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컴퓨터 의학 및 생물학’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