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암 환자들은 병이 깊어질수록 신체적·심리적 고통이 커지는데, 초기부터 완화의료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임상종양학회(ASCO)도 진행암 진단 초기 또는 기대여명 12개월 이내에 완화의료를 통합할 것을 권고한다.
이번 조사에서 전문의들은 조기 통합의 효과로 사전돌봄계획, 호스피스 연계, 심리적 지원, 증상 완화 등을 꼽았다. 하지만 실제 완화의료 의뢰는 주로 말기 단계에서 이뤄졌고, 전문의들 역시 ‘1차 항암치료 실패’ 시점은 이르다고 판단해 ‘2차 항암치료 실패’ 시점을 적절한 의뢰 시기로 여겼다.
조기 완화의료 활성화의 가장 큰 장애물은 환자와 가족의 거부감(70%), 치료 포기 오해(46.3%), 전문 인력 부족(34.4%)으로 조사됐다. 또한 사회적 인식 개선(40.5%), 전문 인력 확충(22.9%), 수가제도 마련(20.3%)이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유신혜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교수는 “완화의료는 치료 포기가 아니라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접근”이라며 “다수 전문의가 조기 통합에 공감하는 만큼, 현장 정착을 위한 교육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최신호에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