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허리 통증은 단순 근육통부터 디스크 질환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대표적으로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 가장 흔하다. 두 질환은 모두 신경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유발하지만, 원인과 증상의 양상, 치료 접근법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이 중요하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의 추간판이 뒤로 밀려나오면서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지고, 다리를 들어 올리면 통증이 허리에서 다리까지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속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며 신경이 눌리는 질환으로,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하지방사통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잠시 앉아서 쉬면 증상이 완화되는 ‘신경성 간헐적 파행’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원장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퇴행성 변화가 누적되며 생기고, 허리디스크는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도 잘못된 자세, 외상, 운동 부족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초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등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회복될 수 있지만, 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절개나 전신마취 없이 진행되는 비수술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무엇보다 두 질환은 증상이 비슷해 스스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단이 필수적이다. MRI 등의 정밀검사를 통해 병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의 연령과 신체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비슷한 통증 양상 때문에 혼동하기 쉽지만, 치료법은 완전히 다르다.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심하면 디스크, 숙이면 편해지면 협착증일 가능성이 높다. 증상을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예후를 좌우한다.
치료 후에도 바르지 못한 자세나 생활 습관이 교정되지 않으면 재발 위험이 크다. 평소 허리 곡선을 유지하고,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을 줄이며, 체계적인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허리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낫는 단순 근육통으로 오인하기 쉽지만, 신경이 눌리는 질환일 경우에는 방치 시 만성 통증이나 하지 마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건강한 척추를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