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AI 기반 이미지 세포분석법(Image cytometry)을 적용한 miLab BCM의 첫 공식 임상 연구로, 글로벌 기준 장비(Sysmex XN-series)와 정확도와 재현성을 비교 검증했다. AI 분석 기술은 기존 유세포 분석법 대비 혈구 이미지를 직접 분석해 형태학적 분석 성능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연구는 CLSI EP09-A3 가이드라인에 따라 301건의 전혈 검체를 대상으로 수행됐다. 각 검체는 기준 장비와 miLab BCM으로 동일하게 분석 후 합의 판독 절차를 거쳤으며, 백혈구, 적혈구, 혈색소, 혈소판 등 핵심 CBC 항목과 미성숙 과립구(IG), 아세포(blast) 등 이상세포 탐지 정확성을 교차 검증했다.

임찬양 노을 대표는 “이번 연구는 miLab BCM이 글로벌 레퍼런스 장비 수준의 정확도를 확보했음을 보여준다”며, “특히 아세포 판별 능력은 혈액암 진단 핵심 지표로, 향후 AI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에 중요한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miLab BCM은 유럽과 중남미 등 시장 확대를 진행 중이며, 업그레이드된 CBC 기능이 글로벌 사업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miLab BCM은 소량 전혈만으로 검사부터 결과 확인까지 자동화된 원스톱 혈액진단 플랫폼으로, 디지털 이미지와 AI 분석을 통합해 판독을 간소화하고 현장 및 원격 판독을 지원한다. 노을은 이미 글로벌 주요 파트너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중남미와 유럽 시장 진입을 준비했다. 이번 성능평가는 miLab BCM의 글로벌 상용화 단계 진입을 의미하는 이정표로 평가된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