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고령층에서 암을 예방하려면 체중보다는 복부 지방 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BMI(체질량지수)만으로는 노인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고, 허리둘레가 암 위험을 가르는 핵심 지표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장수연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65세 이상 한국인 24만 7천 명을 대상으로 11년간 추적 조사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BMI가 높아도 암 위험은 오히려 낮았고, 반대로 허리둘레가 클수록 암 발생 위험은 높았다. 특히 남성에게서 이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정상 체중 범위 내에서도 허리둘레가 큰 경우 암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고령층은 체중보다 허리둘레 관리가 암 예방에 더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장 교수는 “겉보기에는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며 “노년에는 근육량이 줄고 지방이 복부로 몰리기 때문에, 체중만으로 건강을 평가하면 위험 신호를 놓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정 체중 유지와 함께 복부 지방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고령층 암 예방에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BMI와 허리둘레가 노인에서 암 발생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기존 연구가 주로 중년층을 대상으로 했던 것과 달리, 노인층 맞춤 데이터로 확인된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장 교수는 “향후 근육량과 체지방 분포를 함께 고려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