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연세암병원과 연세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두경부암 환자의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T세포 아형을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대표적으로 PD-L1 억제제와 CTLA-4 억제제가 사용되지만,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투여 전 치료 반응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팀은 선행 면역항암요법 임상시험에 참여한 두경부암 환자를 PD-L1 단독 투여군과 PD-L1+CTLA-4 병용 투여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세포 GPT(Cell GPT)’라는 인공지능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해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과 T세포 수용체 분석을 수행, 세포 수준에서 면역반응 차이를 정밀하게 평가했다.

(왼쪽부터)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 차준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박사과정생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왼쪽부터)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 차준하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박사과정생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그 결과, 같은 T세포라도 아형에 따라 면역항암제 반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세포 아형1이 우세하면 약효가 높아지고, 아형2가 많으면 내성을 보였다. 또한 CTLA-4 병용 요법은 암세포 공격 T세포(CD4)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면역 반응 과잉을 억제하는 4-1BB 양성 조절T세포도 함께 강화해 환자별 반응 차이를 설명했다.

김혜련 교수는 “이번 연구로 면역항암제 반응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T세포 아형을 표적으로 하는 맞춤형 치료 전략은 효과를 높이고 불필요한 치료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